티스토리 뷰
1. K패스
24년 5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K패스는 정기적으로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다.
이용 가능한 이동 수단은 전철과 시내버스인데, 전철에는 신분당선과 3월 개통 예정인 GTX 노선까지 포함된다. 시내버스에는 마을버스와 농어촌버스, 광역버스도 포함된다.
환급 시스템은 이용자에 한 해 사후 환급되며 일반인은 20% 환급이 되고, 만 19세~34세의 청년은 30%, 저소득층은 53% 환급된다.
월 최대 60번까지 사용한 금액의 일부를 돌려주며 전국 어디에서든 사용이 가능하다. 기존의 알뜰교통카드와 비교하면
월 15회 이상 이용한 경우 혜택이 주어지는 것은 동일하지만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경우에는 보행이나 자전거 등 이동거리에 비례해서 지급되었지만 K패스는 요금에 따라서 지급되어 조금 더 편리해졌다.
2. 기후동행카드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 2,000원을 선 결제해 무제한 사용하는 정기권이고, K패스는 최소 15회에서 60회 이하 동안 탄 금액 일부분을 환급받는 방식입니다.
3. K패스 카드 vs 기후동행카드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는 적용 범위와 교통비 절감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다. K패스는 전국에서 사용 가능하고, 기후동행카드는 서울 시내와 일부 경기도에서 쓸 수 있다.
그렇다면 서울 사는 35세 이상 일반인 기분으로 무엇을 쓰는 것이 더 유리할까? 계산해 보면 따릉이를 제외한 대중교통을 7만 6,500원어치, 51회 넘게 타면 기후동행카드를, 그보다 덜 타면 K패스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34세 이하 청년이라면 할인율이 달라지는데, 이때는 7만 8,000원어치, 52회 넘게 타면 기후동행카드, 그 밑으로 타면 K패스가 유리하다. 단, 기후동행카드가 적용되는 김포골드라인 외 경기지역과 서울을 오가는 직장인은 K패스가 더 효율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