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출처: 네이버 이미지

영화<파이트클럽> 줄거리

자동차 리콜 심사관인 주인공은 자신의 평범한 일상에 대해 공허함을 느끼고 그 공허함을 비싼 가구들로 집안을 채워가는 것으로 대신하지만 공허함은 채워지지 않고 불면증만 더 심해져간다. 그러던 중 주인공과 상담을 한 의사로부터 불면증은 죽는 병은 아니니 정말 고통이 무엇인지 느껴보고 싶으면 불치병 환자들 모임에 나가라는 권유를 받고 그 모임에 불치병 환자인척하며 참석하고 그 모임을 통해 안도감을 받고 불면증으로 부터 해방되게 된다. 그러게 모임에 참석하던 중 만나게 된 말라 싱어라는 또한 가짜 환자이면서 재미로 모임에 참석한다는 것을 알게되고 그때부터 다시 불면증에 시다릴게 된다. 그러다 출장을 위해 비행기에 오른 주인공은 비행기 안에서 비누장수인 타일러더든(브래드피트)이라는 자를 만나게 되고 '일회용 친구중에 당신 같은 사람은 처음'이라며 타일러에 대한 호감을 내비추고 주인공은 타일러의 연락처를 받게 된다. 출장을 마치고 집에 돌아오자마자 가스 누출로 인한 폭발 사고로 집이 날아가고 갈 곳 없던 주인공은 타일러에게 연락을 하게 되고 술집에서 타일러와 만나 당분간 그의 집에서 지내기로 한다. 집에 가기전에 아무런 이유없이 타일러는 주인공에게 자신을 때려보라고 한다. 처음에 망설이던 주인공은 술집 앞에 치고받기 시작한 두 사람은 곧 기묘한 감정을 느끼게 된다. 이윽고 서로 치고 받으며 느끼는 해방감을 느끼게 해주는 폭력은 파이트 클럽이라는 집단으로 커져가고 세상에 대한 불만을 가지 타일러의 사상을 따라 기존의 체제를 부정하고 파괴하려는 테러집단으로 발전해갔다. 테러집단으로의 성격을 가진 것은 좀 과하다고 생각한 주인공은 타일러와 갈등이 생긱게 되었고 파이트클럽에 대한 반발심을 가지게 되지만 이미 수많은 대도시에 퍼져 나가 타일러에 대한 추종자들로 인해 사이비 종교처럼 변질된 파이트 클럽은 주인공으로부터 멀어지게 만들었고 이때부터 주인공은 다시 우울한 나날을 지내게 된다. 그러던 어느날 주인공은 타일러가 갑자기 사라진 것을 알게되고 방방곡곡으로 타일러를 찾아다니다가 충격적인 사실과 마주하게 된다. 

영화<파이트클럽> 등장인물

주인공를 광기의 세계로 안내한 인물인 비누장수 타일러더든(브래드피트), 평범한 직장인에서 삶의 공허함으로 불면증에 걸려버린 주인공(에드워드 노튼), 어둡고 퇴폐적인 모습을 하고 주인공과 타일러사이를 중재하는 듯한 역할의 말라싱어(헬레나 본햄 카터)가 주연으로 나온다. 

영화<파이트클럽> 총평

나는 어린 시절 그냥 주인공이 브래드피트이였기 때문에 이 영화를 봤었다. 그때는 이해할 수도 없고 이해할 필요도 없었던 장면들이였고 거기에 더해 브래드피트의 멋드러짐에 가려져서 다른 장면은 보이지 않았던 것 같았다. 세월이 지나서 나도 직장과 사회생활을 하고 감당하기 어려운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다 우연히 영화 파이트클럽을 다시보니 영화 안에 있는 장면들이 조금은 보이기 시작했다. 이 영화는 오늘부터 나에게는 명작이다. 브래드피트 여전히 멋졌고 에드워드 노튼은 연기를 잘하며 헬레나는 암울한 퇴폐미가 흥건했다. 가슴을 때리는 명대사들도 눈으로 주워 담기가 어려울 만큼 넘쳐났다. 현실의 불편함을 벗어나기위해 탄생한 서로다른 이중인격 사이의 합심과 충돌 들이 그려져있다. 주인공이 타일러이고 타일러가 주인공이였으며 주인공은 말라로부터 사랑을 얻기 위해 말라에게 이상적인 남자라는 타일러라는 남자를 만들어 내게된다.

영화는 인간의 원초적인 본능을 재발견하고 소비주의의 순응에 반항하려는 개인을 위한 은유적 전쟁터 역할을 하는 이러한 격투 클럽의 매력을 보여준다. 파이트 클럽 시퀀스에 묘사된 원초적인 에너지와 아드레날린이 분출되는 장면은 시청자에게 충격을 주고 매혹시켜 영화 내러티브의 중심적인 측면을 만든다.

취약한 정체성의 본질을 밝히다: 격렬한 전투 장면과 아나키스트 이데올로기의 표면 아래에서 "Fight Club"은 개인 정체성의 취약성을 파헤칩니다. 내러티브가 전개됨에 따라 주인공의 현실과 그의 또 다른 자아인 타일러 더든 사이의 경계가 점점 흐려집니다. 이러한 심리적 혼란으로의 하강은 청중을 자리 가장자리에 유지하는 일련의 환각적인 왜곡으로 이어진다.

해리와 해리성 정체성 장애라는 주제를 탐구하는 이 영화는 시청자가 자신의 자아감과 사회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질문하도록 합니다. 매혹적인 공연과 기발한 스토리텔링을 통해 "Fight Club"은 정체성에 대한 우리의 인식에 도전하고 인간 존재의 진정한 본질에 대해 생각을 자극하는 질문을 던진다.

현대사회에 대한 비판: 그 중심에는 현대 사회의 소비주의, 물질주의, 거짓된 행복 추구에 대한 통렬한 비판이 담겨 있다. 이 영화는 자본주의가 주도하는 우리 문화의 공허함과 피상성을 폭로하고, 시청자로 하여금 자신의 가치와 삶을 지배하는 사회적 구조를 재평가하도록 촉구한다.

타일러 더든의 무정부주의적 이데올로기를 통해 영화는 내레이터와 수많은 다른 사람들이 경험하는 세속적 존재에 대한 급진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혼돈을 품고 기존의 규범을 거부하더라도 순응의 사슬에서 벗어나 자신의 욕망에 충실한 삶을 살도록 관객을 격려한다.

"파이트 클럽"은 어둡고 시사하는 바가 많은 내러티브와 놀라운 퍼포먼스로 계속해서 관객을 사로잡는 명작이다. 그것은 현대 사회의 정체성, 반항, 내재적 결함에 대한 우리의 인식에 도전합니다. 이 컬트 고전의 세계를 탐험하면서 현실의 기초에 의문을 갖게 하는 마음을 굽히는 여정을 떠날 준비를 하세요. 그러니 팝콘을 들고 가장 좋아하는 안락의자에 앉아 순응에 맞설 준비를 하자.

반응형